-
2024년 세계 경제 리스크 3가지 (미국 금리, 중국 저성장, 엘니뇨)국제 경제 2024. 1. 12. 19:30
2024년 세계 경제를 위협할 3대 위험 요소로 미국 금리 정책, 중국 저성장, 엘니뇨에 따른 물가상승이 꼽혔습니다. 1. 미국 금리 작년 말 연준의 조기 인하 기대감이 시장을 휩쓸었었습니다. 2024년 0.75%의 금리 인하를 시사했었지만 최근 연준의원들의 발언은 매파적입니다. 인플레이션 목표 수준인 2%에 도달하기까지 금리인하를 논의하기에는 이르다는 입장입니다. 따라서 빠르면 3월 금리인하를 시작할 가능성은 낮아졌습니다. 2023.12.15 - [국제 경제] - 미 금리 인하 기대감 미 금리 인하 기대감 연준은 내년 세 차례의 기준 금리 인하를 시사하였습니다. 인플레이션 둔화에 따른 연준의 피봇(금융정책 방향 전환) 선언에 금융시장은 환호했습니다. FOMC 회의 결과 기존 5.25~5.5%의 기준 금..
-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의 뜻경제 용어 2024. 1. 8. 16:11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은 경제에 많은 영향을 끼칩니다.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은 화폐 가치가 하락하여 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뜻합니다. 속도에 따라서는 천천히 오르는 마일드 인플레이션 (크리핑 인플레이션)과 급격하게 올라가는 하이퍼 인플레이션 (갤로핑 인플레이션)으로 나뉩니다. 하이퍼 인플레이션 (초과하는, 과도한 + 물가 상승) 시중에 통화량이 너무 많아져 물가가 폭등하는 현상입니다. 통제를 벗어난 상태로 몇백 퍼센트의 인플레이션율을 기록하기도 합니다. 스태그 플레이션 (경기침체 + 물가 상승) 스태그네이션 (stagnation) + 인플레이션 (inflation)을 합친 말입니다. 장기적 경기침체 속에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인플레이션 영향 물가가 상승하고 화폐가치가 떨어집니다. 가정에서..
-
매파, 비둘기파, 올빼미파, 오리파의 뜻경제 용어 2024. 1. 4. 15:10
뉴스 기사를 읽다 보면 매파와 비둘기파란 단어가 나오곤 합니다. 매파와 비둘기파란 무엇을 의미할까요?? 경제용어 매파, 비둘기파, 올빼미파, 오리파에 대하여 정리하였습니다. 매파 & 비둘기파 유래 미국의 제3대 대통령 토마스 제퍼슨이 매파라는 말을 처음 사용하였습니다. 베트남 전쟁 당시 전쟁 확대를 주장한 세력을 공격적인 매에 빗대어 매파로 불렀고, 전쟁을 중단하고 평화롭게 해결하고자 한 세력을 평화주의의 상징인 비둘기에 빗대어 비둘기파로 부른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매파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화폐가치와 물가안정을 목표로 합니다. 금리인상과 통화긴축 정책을 선호합니다. 보수파 & 강경파 물가안정을 중요시하는 면에서는 보수파에 가깝습니다. 강경파는 급진적이고 강하게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려는 사..
-
2024년 50개국 선거, 경제의 불확실성국제 경제 2023. 12. 30. 15:29
2024년 50개국에서 선거가 치러질 예정입니다. 불확실성이란? 미래에 일어날 상황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없거나 어떤 일의 발생 가능성을 명확히 측정할 수 없는 상태, 확률을 전혀 모르는 상태를 말합니다.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정책, 금리나 환율의 변동, 전쟁, 자연재해 등이 있습니다. 불확실성이 깊어지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주요국의 선거일정 1월 7일 방글라데시 총선 1월 13일 대만 총통선거 1월 28일 핀란드 대선 2월 8일 파키스탄 총선 2월 14일 인도네시아 대선, 총선 2월 25일 벨라루스 총선 3월 1일 이란 총선 3월 15~17일 러시아 대선 3월 31일 우크라이나 대선 4월 10일 한국 총선 4~5월 인도 총선 5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총선 6월 1일 아이슬란드 대선 6월..
-
홍해의 수에즈 운하와 파나마 운하, 물류 대란국제 경제 2023. 12. 24. 19:25
해상 운항 차질로 인해 물류 대란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곳은 수에즈 운하와 파나마 운하입니다. 수에즈 운하 이집트 수에즈 운하가 있는 홍해 항로는 전 세계 해상 컨테이너 물동량의 약 30%, 전 세계 상품 교역량의 12%가 지나가는 곳입니다. 홍해 항로는 석유와 천연가스의 수출 통로이기도 합니다. 올해 상반기에는 전체 해상 석유 교역의 12%, 전 세계 액화천연가스(LNG) 교역의 8%를 차지했습니다. 위치 : 이집트의 시나이반도 서쪽, 아시아와 유럽이 연결되는 통로로, 지중해와 홍해를 잇는 이집트의 운하입니다. 홍해 남쪽 끝에 있는 바브엘만데브 해협, 이곳을 지나면 수에즈 운하입니다. 물류 차질 이유 : 후티 반군이 지난달부터 홍해와 수에즈 운하를 오가는 해외 상선들을 무차..